본문 바로가기

3D프린터 정보21

3D프린터 이용수칙, 안전수칙 알아보자 3D프린터 이용수칙과 안전수칙 안녕하세요~ 날씨가 점점 서늘해지고 있네요. 계속 덥더니만 이제 진짜 가을같습니다. 오늘은 3D프린팅 이용수칙, 안전수칙에 대해 작성을 해보고자 합니다. 이미 3D프린터를 자주 쓰시는 분들이라면 다들 알고 있는 사항들이겠지만 한 번 더 훑어보는 것이 도움될 것 같습니다. 3D프린터 사용 전 - 운용할 장비의 사용법을 확인해주세요. - 출력할 디자인, 소재에 따라 장비 가동 설정을 확인해주세요. -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진행해주세요. 3D프린터 출력 중 - 꾸준히 환기하면서 출력해주세요. 출력 중에는 최대한 공간에 머무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마스크, 장갑 등 보호장비를 착용해주세요. - 압출되는 지점에서는 높은 열이 발생해 화상의 우려가 있습니다. - 오류가 생길 .. 2022. 9. 22.
한국에서도 3D프린터로 집을 지을 수 있을까? 한국에서도 3D프린터로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이번 년도 여름은 유독 비가 많이 오는 것 같습니다.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은 3D프린터로 한국에서도 집을 지을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전에 3D프린터로 지은 집에 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3D프린터로 만든 건물들이 이렇게 많다고? 안녕하세요. 오늘도 3D프린팅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점점 기술이 발전하면서 3D프린터의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저번에는 3D프린터가 활용되고 있는 음식에 대해 ssb3d.tistory.com 3D프린터로 모형을 생성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재료를 장비에 넣고, 압출기로 압출하면 노즐을 통해 재료가 밀려나오죠. 이것을 한층씩 쌓아가며 모형을 구현하게 됩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 2022. 8. 30.
국가운영 3D프린팅 시제품 제작터 모음입니다. 시제품 제작터 모음 우리는 시제품 제작을 위해 3D프린팅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저는 따로 프린터기를 두고 취미삼아 써보기도 하고 가끔 의뢰를 받아 샘플을 만들어보기도 하지만 보통의 일반인들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업체를 찾아 요청하기도 하지만 의뢰를 맡기는 비용이 부담스럽거나 직접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고싶다면 전국에 있는 시제품 제작터를 찾아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전국에는 나라에서 운영하는 시제품 제작터가 은근히 많습니다. 저도 잘 모르고 있었는데 찾다보니 제가 사는 곳 근방 2,3km만 가면 시제품 제작터가 존재하더라구요. 아래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시제품 제작터입니다. 1.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는 메이커스페이스 - https://www.makeall.com/home/kor/main.do 2. 전국.. 2022. 7. 26.
3D프린팅에도 이용되는 PLA 용기, 친환경 생분해 재료 친환경 생분해 소재 PLA 최근에 편의점에서 유부초밥을 하나 샀습니다. 살 때는 몰랐는데 먹으려고 포장을 풀다보니 앞부분에 'PLA용기'라고 적혀있더라구요. 보통 플라스틱은 썩는데에 수백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PLA는 친환경 소재라서 훨씬 빠른 기간안에 생분해된다고 하죠. 편의점에서 산 유부초밥 덕분에 떠오른 오늘의 주제, PLA용기입니다. PLA란? PLA는 폴리락틱애시드를 줄인 말입니다. 옥수수, 사탕수수의 전분을 발효시켜 만든 소재죠. 석유계 플라스틱과는 달리 안전한 원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아이가 물고 6개월이면 생분해되어 없어진다고 알려져있는데요. 사실 반년동안 PLA소재가 생분해되기 위해서는 기온이 섭씨 58도, 수분 70% 이상이라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건조하고 차가운 곳에 매립하면 썩지.. 2022. 7. 12.